본문 바로가기
의료기기 RA

어떻게 준비해야 GMP 심사 대체가 가능할까? MDSAP 심사 결과 활용법

by sweetspot25 2025. 4. 27.

어떻게 준비해야 GMP 심사 대체가 가능할까? MDSAP 심사 결과 활용법

 

MDSAP 심사 결과를 GMP 심사에 활용하려면 MDSAP 적합인정서와 심사보고서의 형식, 심사 범위, 부적합 사항의 유무 등 여러 기준을 충족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GMP 현장조사를 서류심사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MDSAP 심사결과 활용 가능 GMP 심사구분은?

TIP: 심사구분이 ‘정기심사’인 경우에는 무조건 현장조사를 받아야 하며, MDSAP 심사 결과 활용 대상이 아닙니다!.


2. 제출해야 하는 심사자료의 형식

심사보고서 형식 반드시 MDSAP F0019.1 양식을 사용해야 하며, 심사기관 자체 양식은 인정되지 않음
언어 원문 + 한글본 모두 제출 (영문 원문 + 한글 요약본도 가능)
문서 상태 승인(전자서명 포함)된 문서여야 하며, 유효하고 실제 사용 중임이 증명되어야 함

3. 부적합 사항 확인은 필수입니다!

  • MDSAP 심사보고서 섹션 12에서 부적합 사항의 등급을 확인해야 합니다.
  •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활용 불가:
5등급 부적합 단 1건이라도 포함 시 서류심사 불가
4등급 이상 부적합 2건 이상 포함 시 불가
그 외 경미한 부적합 심사기관에 시정 및 예방조치(CAPA)를 제출하고 적정성 확인 필요

4. 유효기간 확인도 중요합니다

MDSAP 심사 결과를 활용할 경우 MDSAP 인증서의 유효기간과 동일하게 유효기간을 산정하므로 MDSAP 인증서의 잔여 유효기간을 확인합니다.

주의: 심사 도중 MDSAP 인증서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GMP 적합인정서 발행이 어렵습니다.


5. 섹션 17 첨부자료 확보 여부

MDSAP 보고서의 섹션 17에는 다음과 같은 첨부문서 목록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 심사계획서
  • 심사대상 의료기기 목록
  • 부적합 보고서 및 CAPA

⚠️ 누락된 자료가 있을 경우 전체 활용이 거부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리스트를 체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체크리스트: MDSAP 활용을 위한 기본 검토 사항

  • MDSAP 인증서가 유효한가? 
  • MDSAP 인증서의 심사 범위가 GMP 심사 범위에 포함되는가?
  • 보고서 형식이 F0019.1인가?
  • 원문과 한글본 모두 준비했는가?
  • 섹션 12 부적합 사항의 등급은 문제없는가?
  • 섹션 17 첨부자료가 빠짐없이 포함됐는가?

GMP 정기심사는 MDSAP 심사 결과 활용 대상이 아니라 아쉬움이 있지만, 최초심사/추가심사/변경심사 시에는 사전검토 단계부터 꼼꼼히 준비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서류심사 방식으로 전환해보세요! ✨